티스토리 뷰
목차
안타깝게도 오늘(8월 15일) 새벽에 전해진 소식으로,
'새 박사' 윤무부 경희대 명예교수가 향년 84세로 별세하셨습니다.
윤무부 교수 프로필
기본 정보
- 생년월일: 1941년 4월 15일 ~ 2025년 8월 15일
- 본관: 칠원(漆原)
- 출생지: 경상남도 통영군 이운 면(현 거제시 장승포동)
학력
- 1960년 서울 한영고등학교 졸업
- 경희대학교 생물학 학사 및 이학석사
- 1995년 한국교원대학교 이학박사
경력
- 1979년부터 경희대학교 생물학 교수
- 경희대학교 명예교수
- 새들의 먹이활동과 번식 등의 생태를 일반인들도 알기 쉽게 전달하는 연구활동
가족
- 아들 윤종민 박사도 동물학 박사이자 조류학자로 아버지의 뒤를 이어 새 연구
- 윤종민 박사는 한국교원대 황새생태연구원에서 활동
건강
- 2006년 뇌경색으로 쓰러졌다가 재활에 성공했으나, 지난 6월 재발하여 경희의료원에서 투병
윤무부 교수는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조류학자로서 평생 새를 연구하며 일반인들에게 새의 생태를 알리는 데 힘쓴 학자였습니다.
윤무부 교수 별세 소식
2025년 8월 15일, 윤무부 교수 별세 소식이 전해지며 학계와 대중에게 깊은 슬픔을 남겼다. 향년 84세로 경희의료원에서 눈을 감은 그는 평생 새와 자연을 연구하며 살아온 진정한 새 박사였다. 장례는 경희의료원 장례식장 203호에서 진행되며, 발인은 17일 오전 8시 30분으로 정해졌다. 수많은 제자와 연구자, 대중은 “윤무부 교수 별세는 한국 생물학계의 큰 손실”이라며 애도를 표했다.
윤무부 교수 뇌경색 투병
사인은 뇌경색으로 알려졌다. 2006년 첫 뇌경색 발병 당시 언어 장애와 편측 마비로 고통을 겪었으나 재활에 성공해 연구를 이어갔다. 그러나 2025년 6월 다시 뇌경색이 찾아오며 두 달간 투병 끝에 결국 윤무부 교수 별세로 이어졌다. 투병 중에도 휠체어에 의지하며 탐조 활동을 이어간 모습은 많은 이들에게 감동을 주었고, 그 열정은 새박사라는 별칭을 더욱 빛나게 했다.
윤무부 교수 나이와 프로필
경남 통영 장승포 출생인 윤무부는 경희대학교 생물학과에서 학문을 닦고 1979년부터 2006년까지 교수로 재직했다.
이후 명예교수로 활동하면서도 자연보호와 환경 교육에 힘썼다.
윤무부 교수 별세 이후 남겨진 그의 발자취는 학문과 사회 공헌을 아우르는 기록으로 남는다. 특히 그는 국제기구 활동까지 이어가며 새 박사로서 한국을 넘어 세계적인 조류 연구자로 자리매김했다.
윤무부 교수, 새 박사 연구와 학문적 업적
윤무부 교수는 1995년 박사 학위 논문을 통해 한국 휘파람새의 노랫소리 변이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를 남겼다. 이는 조류 생태 연구에 있어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으며, 국내 연구자들의 필수 참고 자료가 됐다.
새박사로 불린 이유는 단순히 학문적 성취뿐 아니라 대중에게 새의 세계를 쉽게 알리고자 노력했기 때문이다. KBS ‘퀴즈탐험 신비의 세계’에 출연해 새의 생태를 소개하면서, 일반인들도 친근하게 다가갈 수 있도록 했다. 이러한 공로가 있기에 윤무부 교수 별세는 국민 모두에게 큰 아쉬움으로 다가온다.
윤무부 교수 별세와 사회적 행보
한편, 그는 학문적 영역에 머물지 않고 사회적 이슈에도 목소리를 냈다. 태극기 집회에 휠체어를 타고 참석한 모습이 공개되며 논란과 관심을 동시에 모았다. 태극기를 꽂고 “군대여 일어나라”라는 푯말을 걸었던 장면은 대중에게 강렬한 인상을 남겼다. 비록 의견은 분분했으나, 윤무부 교수 별세 후에도 그는 여전히 사회적 영향력을 남긴 인물로 기억된다.
결론: 윤무부 교수 별세, 새 박사의 유산
“윤무부 교수 별세”라는 소식은 단순한 부고가 아닌, 한 시대의 마침표라 할 수 있다. 그는 평생 새와 자연을 통해 학문과 대중을 잇는 다리가 되었고, 그 별칭인 새 박사는 영원히 빛날 것이다. 자연과 환경을 사랑했던 그의 열정, 조류 생태 연구를 향한 집념은 후학들에게 귀감으로 남아 한국 생물학사의 중요한 장으로 기록될 것이다.